자궁경부암 주사는 왜 맞아야 하나요?
자궁경부암주사라고 불리는 HPV백신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접종하게 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일부 고위험군 바이러스 경우 지속감염 시 자궁경부암, 항문암, 생식기 사마귀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리 예방접종을 통해 항체를 형성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자궁경부암 백신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서바릭스(Cervarix)와 가다실(Gardasil)입니다. 서바릭스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HPV16, 18만 예방하는 백신입니다.
반면 가다실은 HPV16, 18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HPV 바이러스까지 예방할 수 있는 9가지 HPV 백신입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을 수 있는 나이대는 어떻게 되나요?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26세 이하 여성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요. 그리고 2016년부터는 27세부터 45세까지의 여성들도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궁 경부암 백신은 성별에 관계없이 9~26세까지의 남성들도 맞을 수 있어요.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을 수 있는 병원은 어디가 있나요?
자궁경부암 백신은 지역 보건소나 대학 병원, 일부 보건소에서 맞을 수 있어요.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맞을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맞을 수 있는 병원을 찾아서 예약하는 것이 좋아요. 예약 전에는 꼭 병원에 문의하여 백신의 종류와 비용,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걱정되는데 괜찮을까요?
자궁경부암 백신은 다른 백신과는 다르게 근육주사라서 통증이 동반될 수 있고, 주사부위 발적 및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거나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약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거나 고열 또는 호흡곤란 같은 전신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방문하세요.
HPV백신 맞고 나서 아픈가요?
일반적으로 통증은 경미하지만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백신접종 시 주의사항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만성질환자라고 해서 반드시 금기시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같은 경우 인슐린 주사를 투여받고 있다면 주치의와 상의 하에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경우라면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서바릭스와 가다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서바릭스와 가다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예방 가능한 HPV 바이러스의 종류입니다.
서바릭스는 HPV16, 18만 예방할 수 있지만, 가다실은 HPV6, 11, 16, 18, 31, 33, 45, 52, 58까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다실은 서바릭스보다 더 많은 HPV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서바릭스와 가다실중 어떤 백신을 선택해야 할까요?
서바릭스와 가다실중 어떤 백신을 선택해야 할지는 본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서바릭스는 HPV16, 18만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HPV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추천됩니다. 반면, 가다실은 HPV6, 11, 16, 18, 31, 33, 45, 52, 58까지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HPV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됩니다. 따라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다실과 서바릭스 모두 안전한가요?
네, 물론입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및 유럽의약품청(EMA) 등 주요 국가 기관들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만 13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 부작용 사례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경미한 증상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2016년 대한산부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 역시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부작용 발생시 보상받을 수 있나요?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 백신이기 때문에 정부지원금 전액을 환급 받을 수 있고, 치료비 및 위자료 청구도 가능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 신고해야 하며, 피해보상 신청 시 구비서류로는 진료비 영수증, 진단서, 소견서, 의무기록사본 등이 필요하니 꼼꼼하게 챙겨두세요.
'여성 건강 > 여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질환: 자궁근종 총 정리🙂 (2) | 2023.05.19 |
---|---|
자궁경부암 고민 해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고르는 법💡 (0) | 2023.05.15 |
여성질환: 자궁경부암 총 정리😀 (0) | 2023.05.15 |
댓글